시인 박두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23:09
본문
Download : 시인 박두진.hwp
세 시인은 각기 시적 지향이나 표현의 기교나 율조를 달리하고 있으나, 자연의 본성을 통하여 인간적 염원과 가치를 성취시키는 시 창조의 태도는 공통 되고 있따 서정주는 이러한 공통점에 근거하여 `자연파`라고 호칭 한 바 있따 이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광복직전의 일제치하에서 쓰여 진 것으로 서 시사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따
박목월의 향토적 서정에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의식이 살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제 말기 한국인 의 정신적 동질성을 통합하려고한 가치를 인정할 수 있따그의 민요풍의 시형식도 그러한 민족적 전통에 근거하고 있따
조지훈의 전아한 고전적 취미도 한국인의 歷史적 문화적 인식을 일깨우는 뜻이 있으며, 민족의 문화 적 동질성을 환기시킴으로써 일제 치하의 민족의 굴욕을 극복하려 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시에서 저항적 요소가 보이고 있음도 그러한 정신적 자세와 연결되고 있따
박두진에 있어서 자연인식은 원시적 건강성과 함께 강렬한 의지의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그의 기독교적 신앙에서 빚어진 의연하고 당당한 의로움의 생활 신념과 관계되고 있따 <향현>에서 보이는 `침묵의 산에서 불길이 치솟는 심상`을 표현하는 것은 바로 그러한 신앙에 근거하여 일제시대의 민족적 수치를 극복하려는 기세를 읊은 것이라고 평가된다
일제 말기의 단말마적인 국어 말살정책의 상황 하에서 우리말로써 펴낸 이 시집은 민족의 歷史적 문화적 동질성을 드높인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skip)
설명
청록파박두진 , 시인 박두진인문사회레포트 ,
청록파박두진
,인문사회,레포트
시인 박두진
다.






순서
Download : 시인 박두진.hwp( 38 )
레포트/인문사회
1.청록파
2.연보
3.데뷔
4.저서
5.동인활동
6.작가론
7.작품
주로 자연을 제재로 하여 처음 활동을 하는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등 세 시인을 일컫는 말.
1946년 세 시인이 공저한 시집 <청록집>이 을유문화사에서 간행 되었는데 이 시집의 이름에 의거하여 `청록파`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시집은 A5판으로 박목월의 시 <청노루>에서 책명을 따왔다고 하며, 박목월의 <나그네>를 비롯하여 모두 15편이 수록되었고, 조지훈의 시는 <봉황 수>등 12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박두진의 시는 <향 현> 을 합하여 12편이 수록되어 총 39편이 수록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