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百濟)의 성(城)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9:52
본문
Download : 백제(百濟)의 성(城).hwp
이곳에서 전북 무실(茂失)군 나제통문(羅濟通門)에 이르기까지의 국경선은 백제가 사비성(泗泌城)으로 천도한 이후(538) 멸망할 때까지 양국간 가장 접촉이 잦았던 지역이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이 접전지대를 연결해 나가면 양국간 형성된 국경선이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된다.
- 북부경계선
한강유역을 장악한 신라의 세력은 더욱 확장되어 6세기 말에는 지금의 이천(伊川)지방을 근거지로 남천정을 설치한 일이 있다 이보다 앞서 595년경에는 이미 김서현(金舒玄) 김유신(金庾信)장군의 아버지
이 만노군 지금의 진천(鎭)川)
태수로 부임해 있던 사실이 『삼국사기』에서 보인다. 백제동부의 성으로 잠정 結論지어진 천안 흑성산 아래에 있는 목천토성(木川土城)은 위에서 제시한 바 있는 천안으로 추정되고 있는 도연성이 위치하고 있었던 지방에 해당되며, 금현성은 전의지방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이곳이 백제의 동북부 최전방의 기점이 된다된다.
순서
백제(百濟)의 성(城)
一. 서론
二. 본론
1. 축조(築造) 배경
-백제 국경선에 관하여
2. 축성(築城)기법과 그 變化
3. 도성(都城)과 산성(山城)
4. 백제성의 example(사례) (事例)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
-웅진성(雄鎭城)
-사비성(泗泌城)
三. 結論
※ 부록
1) 충남소재 성 관련data(資料)
2) 관련지도
1. 축조(築造) 배경 -백제 국경선에 관하여
백제는 신라와 3면에서 접경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양국사이에는 끊임없이 치열한 접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신라의 세력이 점점 남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라는 7세기 전반에는 그 세력이 더욱 확장되어 지금의 종산(稯山)지방까지 내려왔음을 삼국사기 열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평양지방은 문헌상에 의하면 고구려의 소유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종산지방이 고구려 군현이었던 것과 같은 조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천안 종산과 평양군계로 연결되는 지역은 고구려의 세력권에서 신라의 세력권내로 바뀌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동부 경계선
삼국사기에 의하면 성왕 28년(550)에 백제는 도연성(道蓮城)을 공격해서 점령한 일이 있고, 고구려는 금현성(金峴城)을 포위한 일이 있는데, 도연성은 천안에, 그리고 금현성을 전의로 추정되고 있어 대체로 이곳이 백제와 신라간의 동북부국경선 지점이 된다된다.백제성 , 백제(百濟)의 성(城)기타레포트 ,
%EC%9D%98%20%EC%84%B1(%E5%9F%8E)_hwp_01.gif)
%EC%9D%98%20%EC%84%B1(%E5%9F%8E)_hwp_02.gif)
%EC%9D%98%20%EC%84%B1(%E5%9F%8E)_hwp_03.gif)
%EC%9D%98%20%EC%84%B1(%E5%9F%8E)_hwp_04.gif)
%EC%9D%98%20%EC%84%B1(%E5%9F%8E)_hwp_05.gif)
%EC%9D%98%20%EC%84%B1(%E5%9F%8E)_hwp_06.gif)
백제성
Download : 백제(百濟)의 성(城).hwp( 99 )
설명
레포트/기타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 남부 경계선
남부경계선은 나제통문에서 남해에 이르기까지…(생략(省略))
,기타,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