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쥐팥쥐 연구의 경과와 展望(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8:03본문
Download : 콩쥐팥쥐 연구의 경과와 전망.hwp
그리고 당나라 단성식의 「유양잡조」에 이미 <신데렐라형 이야기>가 실려 있고, 또 각국에 전승되는 <신데렐라형 이야기>들의 친소관계도 서로 다름에 주목하여, “세계 대광…(To be continued )
,기타,레포트






콩쥐팥쥐 연구의 경과와 展望(전망)
Download : 콩쥐팥쥐 연구의 경과와 전망.hwp( 90 )
설명
레포트/기타
순서
먼저 <콩쥐팥쥐>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정밀 검토함으로써 그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그 토대 위에서 앞으로의 <콩쥐팥쥐>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나름대로 展望(전망) 해 보기로 한다.
먼저 <콩쥐팥쥐>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정밀 검토함으로써 그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그 토대 위에서 앞으로의 <콩쥐팥쥐>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나름대로 전망해 보기로 한다. , 콩쥐팥쥐 연구의 경과와 전망기타레포트 ,
1. 머리말
2. <콩쥐팥쥐> 연구의 경과
1) 해방 이전의 연구
2) 해방 이후의 연구
(1) 남한 학계의 동향
(2) 북한 학계의 동향
3. 남겨진 처리해야할문제와 앞으로의 展望
가. 작품세계의 해석과 평가
나. <콩쥐팥쥐>의 형성 시기
다. 이에 여기서는 <콩쥐팥쥐> 연구사를 남북이 통일되어 있었던 해방 이전과 남북이 분단된 해방 이후의 두 시기로 나누고, 해방 이후는 다시 남한 학계와 북한 학계로 구분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다. 그리고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우선 기존 논의들을 발표 순서에 따라 각각 검토하여 그 사적 흐름을 살핀 뒤, 이를 통해 드러난 쟁점과 과제를 다시 종합하여 그 해결 전망을 모색하는 방식을 취하기로 한다. <콩쥐팥쥐>의 형성 과정
라. <신데렐라형 이야기>와의 비교 연구
마. 구전 <콩쥐팥쥐 설화>에 대한 연구
바. 다른 <계모형 이야기>와의 비교 연구
4. 맺 음 말
<콩쥐팥쥐>에 대한 연구성과는 아직 많이 축적되지 않았지만, 연구의 역싸는 상당히 오래된 편이다. 분단과 더불어 남북간에는 학문적 교류의 통로가 막혀버렸고, 이 때문에 <콩쥐팥쥐> 연구 역시 서로의 연구성과를 모르는 채 따로따로 진행되어 왔는데, 최근에 일부 공개된 북한 학계의 연구물들을 보면 연구의 기본 성향이나 작품의 해석과 평가 등에서 남한 학계와는 현져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1) 해방 이전의 연구
<콩쥐팥쥐>에 대한 논의는 최남선(1929)에서 처음 스타트되었는데, 여기서 논자는 이 작품이 조선의 대표적 민담으로 구전으로만 전하고 있으며,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신데렐라형 이야기>의 하나라고 하였다. 그리고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우선 기존 논의들을 발표 순서에 따라 각각 검토하여 그 사적 흐름을 살핀 뒤, 이를 통해 드러난 쟁점과 project를 다시 종합하여 그 해결 展望(전망) 을 모색하는 방식을 취하기로 한다.